본문 바로가기
생활

춘분의 뜻과 머슴떡, 사한제

by ※§★∽☆~ 2023. 1. 30.

24절기 중, 춘분의 날짜, 즉 언제인지? 그리고, 춘분의 뜻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예로부터, 춘분에 하는 일, 춘분 풍습인 머슴떡 먹기와 사한제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새싹
새싹_FrancescoGallarottionUnsplash

 

 

춘분의 뜻과 날짜

- 날짜는 보통 양력으로 3월 21일 무렵으로, 춘분(春分)은 경칩(驚蟄)와 청명(淸明)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 24절기 중, 4번째 절기를 춘분(春分)이라고 합니다. 

 

 

- 춘분(春分)은 한자로 '봄 춘', '나눌 분'으로, '봄을 나눈다'는 뜻입니다.

- 춘분을 기점으로 북반구는 밤보다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기온도 상승하게 됩니다.

 

 

- 천문학적으로는 춘분은 태양이 적도의 남쪽에서 북쪽을 통과하는 때를 말하며, 이 지점을 바로 '춘분점'이라고 합니다.

- 이날에는 태양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기 때문에,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라고 많이들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깁니다. 

 

 

 

춘분에 하는 일, 풍습

▶ 머슴떡 먹기(나이떡 먹기)

  - 정월대보름에 세워두었던 볏가릿대를 다시 내린 후, 그 안에 두었던 곡식을 가지고, 송편과 비슷한 모양의 '나이떡'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나이떡을 자신의 나이만큼 먹었습니다.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는 춘분에는 마을의 머슴들을 모아서, 일 년의 농사가 잘 되길 기원하며, 떡을 함께 나누어 먹었습니다. 그래서 '머슴떡'이라고도 합니다.

 

 

사한제(제사)

  - 옛날에는 얼음이 매우 귀했습니다. 그래서 이 귀한 얼음을 잘 보관하기 위해서, 춘분과 입춘에 사한제라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사한단에서 추위와 북방의 신인 현명씨에게 지내는 제사여서, 이를 '사한제'라고 합니다.

  - 얼음보관창고인 '빙고'에서 얼음을 저장하거나 꺼낼 때 모두 사한제를 지냈습니다. 음력 12월에 얼음을 떠서, 빙고에 넣어둘 때에는 '장빙제'를 지냈습니다. 춘분날 빙고에서 얼음을 꺼낼 때에는 '개빙제'를 지냈습니다. 만약, 얼음이 얼지 않을 때에는 '기한제'나 '동빙제'를 지냈습니다. 그래서, 얼음이 얼기를 기원했습니다.

  - 이러한 풍습은 고려 시대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 쭉 이어져 왔습니다.

 

 

 

 

>>> 건양다경, 입춘대길 뜻은?

 

건양다경, 입춘대길 뜻은?

입춘대길과 건양다경은 무슨 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입춘의 뜻과 날짜는 언제인지, 입춘은 한자로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입춘의 날짜와 의미 - 24절기 중에서 1번째 절기

apeee.tistory.com

>>> 상강의 뜻과 날짜, 추수동장

 

상강의 뜻과 날짜, 추수동장

24절기 중, 상강은 언제인지? 상강 뜻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또, 상강에 하는 일과 '추수동장'의 뜻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국화전과 국화술을 드시기도 했습

apeee.tistory.com

 

 

댓글